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폭우 상황, 아는 기자에서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 <br> <br>문화스포츠부 조현선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앞서 보신 충청과 호남 말고도 경북에서도 인명피해가 심각합니다. 이 지역도 폭우 영향이 컸던거죠?<br>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이번에 비가 가장 많이 온 곳이 충남인데요. <br><br>3일간 충남 청양에 561mm가 내렸거든요. <br> <br>그런데 장마 시작 이후 지난 3주간 내린 비를 보니까 경북에 최고 886mm였습니다. <br><br>이번 장마에서 비가 가장 많이 온 지역이 바로 충청과 경북 북부 지역이었습니다.<br><br>이 지역엔 연평균 강수량의 3분의 2 정도가 내렸습니다.<br><br>[질문2] 그런데 피해현장들을 보면 어떻게 한 지역에 거의 이틀 내내 오랫동안 비가 내릴 수 있는 건가요? <br><br>한반도 주변으로 비의 재료가 되는 수증기까 끝없이 유입되기 때문인데요, <br><br>아시다시피 우리나라 북쪽의 찬공기와 남쪽의 뜨거운 공기가 만나 장마전선이 만들어졌습니다. <br><br>이 두 세력이 싸우는 동안 주변에서는 싸움을 돋우는 요소들이 계속 쌓입니다. <br> <br>위에서는 장마전선과 분리돼 올라간 저기압의 소용돌이가 찬공기를 추가로 내려보내고 있고요. <br><br>아래서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로 살짝 더 가까워지면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기류의 골목이 더 좁아졌습니다. <br> <br>좁아진 만큼 기류가 빨라지고 더 급속하게 열대의 더운 수증기가 유입되고 있는 겁니다.<br> <br>[질문3] 한반도를 덮고 있는 거대한 비구름, 오늘 밤이 지나면 고비는 넘기는 걸까요?<br><br>아직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. <br> <br>내일 밤까지는 충청과 남부지방으로 비가 셉니다. <br><br>비의 양이 많게는 200mm 이상이 되겠고요.<br><br>시간당 최고 60mm의 극한 호우는 반복되겠습니다. <br><br>비구름대가 지난 밤사이보단 세력이 약해진다해도 이미 많은 비로 지반이 약해지고 복구 작업을 시작도 못한 상태에 또 내리는 비라서,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.<br> <br>[질문4] 오늘 서울은 거의 비가 안 왔는데, 수도권은 장마 영향권에서 벗어나고 있는 겁니까? <br><br>아닙니다. <br> <br>내일 다시 시작합니다. <br> <br>충청지역 전에 서울 등 수도권도 이틀 간 퍼부은 폭우로곳곳에 피해가 많았죠. <br><br>장마전선이 다시 북쪽으로 움직이면서 내일부터는 서울 등 전국적으로 비가 내립니다. <br><br>중부 중심으로 예상 강수량이 많습니다. <br><br>모레 내릴 비의 양이 서울 등 중부와 전북, 경북북부에 120mm가 넘습니다. <br> <br>결코 적은 비가 아니고요. <br> <br>이후에도 수요일까지 전국적으로 장맛비가 계속되겠습니다.<br> <br>[질문5] 폭우로 안타까운 사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대비할 방법은 없을까요? <br><br>지하차도의 경우 물이 낮게 차 있어 보여도 절대 진입해서는 안 됩니다. <br><br>지하시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침수되기 때문인데요, 특히 이번 충북 오송 지하차도처럼 지도상 하천과 만나는 위치에 있을 경우 특히 위험합니다. <br><br>하천 수위가 높아지면서 순식간에 그 물이 지하차도로 차 오르기 때문인데요.<br><br>혹시 지하차도 안에서 자동차 타이어 3분 2 정도까지 물이 차오른 걸 확인한다면 차를 버리고 바로 나와야 큰 사고를 피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산사태도 마찬가지인데요, 전문가들은 바람이 안 부는 나무가 흔들리거나 금이 간 곳이 있다면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거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선제 대피가 중요합니다. <br> <br>너무 당연한 말이긴 한데 막상 상황이 닥치면 당황하기 마련입니다. <br><br>위험에 직면하면 미련 없이 현장을 벗어나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당부합니다.<br><br>[앵커]<br>지금까지 문화스포츠부 조현선 기자였습니다.